프로그래밍9 chapter 7. 포인터 1.1 주소연산자& 메모리 공간은 바이트마다 고유한 주소가 있습니다. 0부터 바이트마다 1씩 증가합니다. 메모리 주소는 저장장소인 변수 이름과 함게 기억 장소를 참조하는 또 다른 방법입니다. 주소연산자 & 지금까지 함수 scanf_s()를 사용하면서 &인자를 사용했을겁니다. 바로 &(ampersand)가 피연산자인 변수의 메모리 주소를 반환하는 주소연산자입니다. int input; scanf_s("%d",&input); (&input은 변수 input의 주소값을 반환한는것뿐 실제 주소는 4바이트 크기의 양의 정수이다) 저는 쉽게 생각해서 input이라는 곳에 변수를 저장한다고 생각하고있습니다. 보시면 32를 입력하고 &없이 출력을 하면 입력했던 32가 나오고 &input을 입력하면 주소가 출력됩니다. 주.. 2020. 2. 6. chapter 6. 배열 1. 배열 배열(array)은 여러 변수들이 같은 배열 이름으로 일정한 크기의 연속된 메모리에 저장되는 구조이다. 동일한 자료형이 여러 개 필요한 경우 유용한 자료구조이며, 선언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그 사용도 간편하다. 배열은 한 자료형의 저장공간인 원소를 동일한 크기로 지정된 배열 크기만큼 확보한 연속된 저장공간이다. 배열도 변수이다. 그래서 배열마다 고유한 배열 이름이 필요하다. 배열을 구성하는 각각의 항목을 배열의 원소라 한다. 배열은 배열 이름, 원소 자료형, 배열 크기라는 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배열 원소들은 첨자 번호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2. 배열선언과 사용 기본적으로 원소자료형 배열이름[배열크기]; 의 모습을 가진다. //배열선언 int score[10]; (배열원소는.. 2020. 1. 31. chapter 5. 재귀함수와 라이브러리함수 1.재귀함수 함수 구현에서 자신의 함수를 호출하는 함수를 재귀 함수(recursive funtion)라 한다. 수학에서 재귀 함수를 찾으면 n factorial = n! 이 있다. 결과: 1!=1 2!=2 3!=6 4!=24 5!=120 6!=720 7!=5040 8!=40320 9!=362880 10!=3628800 2.재귀 함수 실행의 장단점 재귀함수는 시간도 오래걸리고 메모리의 사용도 많다. 내부적으로 여러번 함수를 실행하기 때문이다. 반복구문으로 만들 수 있다면 반복구문으로 만드는게 좋다. 만들기 쉬운걸로 만들면된다. 3.라이브러리함수 함수 rand() - 특정한 나열 순서나 규칙을 가지지 않는 연속적인 임의의 수를 난수라 한다. 이 난수를 생성하는 함수가 rand()이다. 헤더파일 stdlib... 2020. 1. 30. chapter5. 함수 1.함수의 이해 함수는 필요한 입력을 받아 원하는 어떤 기능을 수행한 후 결과를 반환(return)하는 프로그램 단위이다. main()도 함수로 프로그램의 실행이 시작되는 특수한 함수이다. 그러므로 c프로그램은 최소한 main() 함수와 다른 함수로 구성되는 프로그램이다. 2. 라이브러리 함수와 사용자정의 함수 라이브러리 함수는 이미 개발환경에 포함되어있는 함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printf(), scanf() 사용자 정의 함수는 필요에 의해서 개발자가 직접 개발하는 함수를 말한다. 사용자가 직접 개발한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함수선언(function declaration), 함수 호출(function call), 함수 정의(function deficition)가 필요하다. 3.구조화 프.. 2020. 1. 2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