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0 [책리뷰] '유럽도시기행', 여행과 그곳의 역사 본인은 제대로 된 여행을 가본적 없다. 해외여행도 못 가봤다. 여권도 없다. 내가 생각하는 여행을 가기에는 돈도 없고, 여유도 없다. 여행에 정답이 어디 있겠냐만은 내가 생각하는 여행은 여행지를 많이 공부하고 가야한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가는 여행은 시간여행이 아닌이상 현재의 모습밖에 보지못한다. 그 도시의 과거의 모습, 역사를 알아야지 현재의 모습을 100% 이해를 할 수 있다. 변화를 이해하면 감동과 이해가 몇 배 높아진다. 이 도시가 어떻게 해서 이러한 모습이 되었고, 무엇을 먹었고, 누가 지나갔는지. 그래서 왠만한 도시에는 과거를 보여주기 위해 박물관이 있는가보다. 유시민의 유럽도시기행은 여행지의 역사를 잘 설명해준다. 여행지의 현재를 알고 싶다면 이 책을 별로 추천하지 않는다. 사진 많고 하지만.. 2020. 2. 13. chapter 7. 포인터 1.1 주소연산자& 메모리 공간은 바이트마다 고유한 주소가 있습니다. 0부터 바이트마다 1씩 증가합니다. 메모리 주소는 저장장소인 변수 이름과 함게 기억 장소를 참조하는 또 다른 방법입니다. 주소연산자 & 지금까지 함수 scanf_s()를 사용하면서 &인자를 사용했을겁니다. 바로 &(ampersand)가 피연산자인 변수의 메모리 주소를 반환하는 주소연산자입니다. int input; scanf_s("%d",&input); (&input은 변수 input의 주소값을 반환한는것뿐 실제 주소는 4바이트 크기의 양의 정수이다) 저는 쉽게 생각해서 input이라는 곳에 변수를 저장한다고 생각하고있습니다. 보시면 32를 입력하고 &없이 출력을 하면 입력했던 32가 나오고 &input을 입력하면 주소가 출력됩니다. 주.. 2020. 2. 6. chapter 6. 배열 1. 배열 배열(array)은 여러 변수들이 같은 배열 이름으로 일정한 크기의 연속된 메모리에 저장되는 구조이다. 동일한 자료형이 여러 개 필요한 경우 유용한 자료구조이며, 선언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그 사용도 간편하다. 배열은 한 자료형의 저장공간인 원소를 동일한 크기로 지정된 배열 크기만큼 확보한 연속된 저장공간이다. 배열도 변수이다. 그래서 배열마다 고유한 배열 이름이 필요하다. 배열을 구성하는 각각의 항목을 배열의 원소라 한다. 배열은 배열 이름, 원소 자료형, 배열 크기라는 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배열 원소들은 첨자 번호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2. 배열선언과 사용 기본적으로 원소자료형 배열이름[배열크기]; 의 모습을 가진다. //배열선언 int score[10]; (배열원소는.. 2020. 1. 31. chapter 5. 재귀함수와 라이브러리함수 1.재귀함수 함수 구현에서 자신의 함수를 호출하는 함수를 재귀 함수(recursive funtion)라 한다. 수학에서 재귀 함수를 찾으면 n factorial = n! 이 있다. 결과: 1!=1 2!=2 3!=6 4!=24 5!=120 6!=720 7!=5040 8!=40320 9!=362880 10!=3628800 2.재귀 함수 실행의 장단점 재귀함수는 시간도 오래걸리고 메모리의 사용도 많다. 내부적으로 여러번 함수를 실행하기 때문이다. 반복구문으로 만들 수 있다면 반복구문으로 만드는게 좋다. 만들기 쉬운걸로 만들면된다. 3.라이브러리함수 함수 rand() - 특정한 나열 순서나 규칙을 가지지 않는 연속적인 임의의 수를 난수라 한다. 이 난수를 생성하는 함수가 rand()이다. 헤더파일 stdlib... 2020. 1. 30.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