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홀로의 책방/코딩을 공부하자(C언어)14

chapter4. switch문과 반복문 1.정수 또는 문자선택 swith문은 주어진 연산식이 문자형 또는 정수형이라면 그 값에 따라 case의 값과 일치하는 부분의 문장들을 수행하는 선택구문이다. swith문은 표현식 exp 결과값 중에서 case의 값과 일치하는 항목의 문장을 실행한다. switch문에서 switch, case, break, default는 키워드이며 연산식 exp의 결과값은 반드시 문자 또는 정수여야 한다. 표현식 op 값을 평가하며 case문의 내부문장을 실행한다. break문을 만나면 switch문을 종료하고, break문이 없으면 다음 case로 무조건 이동하여 내부문장을 실행한다. 만족된 case값이 없으면 default 내부의 문장을 실행한다. 마지막 문장을 실행할경우 switch문을 종료한다. switch문에서 .. 2020. 1. 22.
chapter4. 조건과 반복 1. 제어문 프로그램은 원칙적으로 순차적 실행이다. 이 순차적 실행을 변형한 구문을 제어문이라고 한다. c언어에서 제공하는 제어문은 조건 선택, 반복, 분기 처리로 나눌 수 있다. 반복 순환 : 반복 조건에 따라 일정 영역의 반복 구문 for, while, do while 조건 선택 : 조건에 대한 선택 구문 if, if else, if else if, nested if, switch 분기 처리 : 지정된 영역으로 실행을 이동하는 구문 break, continue, goto 2. 조건에 따른 선택 if문은 선택을 지원하는 구문이다. if(cond) stmt; next 의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조건 cond가 0이 아니면, 즉 참이라면 stmt를 실행하고, 0이면 즉 거짓이라면 stmt를 실행하지 않.. 2020. 1. 21.
chapter 3. 연산자 sizeof()와 우선순위 1.연산자 sizeof와 콤마연산자 연산자 sizeof()는 표현식 또는 자료형의 저장장소 크기를 구하는 연산자이다. 연산자 sizeof의 결과값은 바이트단위의 정수이다. sizeof(int)의 결과는 4, sizeof(3.14) 결과는 8, sizeof a의 결과는 2이다. 콤마연산자, 콤마의 오른쪽에서 수행한 연산의 결과가 결과값이다. 3+4,5-10 의 결과는 -5이다. 2.연산자 우선순위 우선순위 연산자 분류 결합법칙(계산방향) 1 ( ) [ ] . -> a++(후위) a--(후위) 단항 ->(좌에서 우로) 2 ++a --a ! ~ sizeof -(부호) +(부호) &(주소) *(역참조,간접) (좌에서 우로) 4 + - ->(좌에서 우로) 5 > 이동 ->(좌에서 우로) 6 관계 ->(좌에서 우로.. 2020. 1. 19.
chapter3. 연산자 1.표현식 연산자(operator)는 이미 정의된 연산을 수행하는 문자 또는 기호들이다. 연산에 참여하는 변수나 상수를 피연산자(operand)라 한다. 연산자와 피연산자의 조합을 표현식(expression)이다. 연산에 참여하는 피연산자의 갯수에 따라 단일항,이항.삼항 연산자로 나눌수있다. 2. 산술연산자와 대입연산자 산술연산자는 +,-,*,/,%로 더하기, 빼기,곱하기,나누기,나머지연산자로 정의되어있다. +,-는 변수의 부호 연산자로 단항연산자이다. 대입연산자(assignment operator)는 =으로 연산식의 결과값을 변수에 저장하는 연산자이다. 대입연산자의 왼쪽에는 반드시 하나의 변수만이 올수있는데 이 변술르 l-value 라 하며 오른쪽에는 r-value 라 한다. 오른쪽의 연산식 결과값이 .. 2020. 1. 19.